도전 독서통장 어플 홈 화면 이미지

BOOKBANK CHALLENGE

도전! 독서통장 앱 UI/UX 리디자인

  • 2023.05.03-2023.05.31
  • 팀 프로젝트 (100%)
  • ‘포트리스’ 조 (강신재, 변준현, 이지은, 이현경)

Overview

타이틀 제목을 강조하는 초록색 원형 이미지
  • 도전! 독서통장 앱 소개

    도전! 독서통장은 자녀들의 독서 이력을 간편하게 기록할 수 있는 앱입니다.

  • 선정이유

    어플 기능 중 하나인 ‘도전’은 책을 읽기 시작한 아이들의 독서 습관을 만들어주기에 좋은 요소이지만, 도전 단위가 한정되어 있고 다소 따분한 디자인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끌기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점들을 개선하여 ‘도전’이라는 목표와 기록의 재미를 통해 아이 스스로 독서 습관을 형성할 수 있게 하고자 ‘도전! 독서통장’ 어플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 작업기간

    2023.05.03-2023.05.31

  • 기여도

    100%

Process

타이틀 제목을 강조하는 초록색 원형 이미지

진행과정

  • 01. 앱 조사
  • 02. 앱 선정
  • 03. 앱 분석 (성격, 특징 등)
  • 04. 앱 타깃 분석 (주 사용자)
  • 05. 경쟁사 앱 분석
  • 06. ux-vision 선정
  • 07. IA(정보구조도) 작성
  • 08. 와이어프레임 제작
  • 09. 프로토타입 제작
  • 10. 발표 및 피드백
  • 11. 보고서 작성

담당 업무

  • -팀 리더, 자료 조사, 와이어프레임 제작, 프로토타입 제작, 발표 ppt 제작

As-is To-be

타이틀 제목을 강조하는 초록색 원형 이미지

문제점 파악 및 해결방안

유저리뷰와 SWOT분석 그리고 팀 내 자체적인 앱 분석을 통해 기존 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해냈습니다.

As-is

To-be

UX-vision

타이틀 제목을 강조하는 초록색 원형 이미지

UX-vision

아이의 독서 습관 형성을 위한 앱인 만큼 목적에 걸맞는 ux-vision을 선정하였습니다.

“도전 기능을 통해 자녀의 독서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Wireframe

타이틀 제목을 강조하는 초록색 원형 이미지

와이어프레임

처음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도 한 눈에 기능들을 파악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도전 독서통장 와이어프레임 및 워크플로우

메인화면

도전

목표

Style guide

타이틀 제목을 강조하는 초록색 원형 이미지
  • Keyword
    #직관적인 #정확한
  • Color 스타일가이드 컬러색상
  • Typography

    Pretendard (프리텐다드)

    가나다AaBbCc0123   Regular

    가나다AaBbCc0123   Medium

    가나다AaBbCc0123   Bold

    가나다AaBbCc0123   ExtraBold

Prototype

타이틀 제목을 강조하는 초록색 원형 이미지

Main

현재 읽고 있는 책과 어플의 상징성인 '도전 현황'을 메인 화면에서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고 사용자가 읽은 책들에 대한 간단한 통계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도전 독서통장 메인화면
도전 독서통장 검색화면

Search

검색 기능을 통해 쉽고 빠르게 원하는 책을 검색하고 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atistics

홈에서 통계 클릭시 사용자가 읽은 책에 대한 통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날짜별 통계 확인도 가능합니다.

도전 독서통장 통계화면
도전 독서통장 도전화면

Challenge

도전 탭에서는 내가 등록한 도전 목록을 도전중, 성공, 실패 카테고리로 나누어
확인 할 수 있으며 기존 어플보다 다양한 단위로 목표 설정이 가능합니다.

Library

서재 탭에서는 사용자가 읽은 책, 읽고 있는 책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Review

타이틀 제목을 강조하는 초록색 원형 이미지

프로젝트 완료 리뷰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는 코딩을 하는 것보다 디자인이 더 쉽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록 디자인이 정말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무조건 예쁜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도 고려해야 했기 때문에 생각해야 할 부분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특히, 프로젝트의 막바지에 포로토타입을 다시 만들어야 했을 때가 가장 난감했습니다. 프로토타입을 다시 만드려면 그 앞의 과정인 IA와 와이어프레임도 다시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시간에 쫓기면서 만들었던 게 기억에 남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스스로 칭찬하고 싶은 부분은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했기 때문에 결과물을 완성시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팀원들과의 의사소통이 미흡했다는 사실이 큰 아쉬움으로 남았습니다. 조장으로서 팀원들을 잘 이끌어나갔어야 했는데 소통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팀원 중 한 분은 코로나로 인해 일주일 동안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못했고 다른 한 분은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중간부터 프로젝트를 따라오지 못했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다 보니 많은 비중의 업무를 혼자 하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가 진행 중일 때는 정해진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힘들더라도 조장으로서 많은 업무를 감당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고 결과물도 잘 나왔지만 제가 생각한 방향이 팀원들 모두에게 좋은 방향이 아니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팀 프로젝트는 개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의사소통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